
안녕하세요. 임신을 하게 되면 산부인과에서 임신확인서를 발급해 주고 이걸로 정부24 사이트에서 임산부 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정부24에서 임산부 등록을 하고 각종 지원 서비스 신청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부24 맘편한 임신 신청 정부24 홈페이지로 접속한 후 공동·금융인증서로 로그인을 해주세요. 정부24 홈페이지 접속하기 >> 메인 페이지 하단에 위치한 원스톱 서비스에 위치한 '맘편한임신' 클릭합니다. - 엽산제, 철분제 지원, 표준모자보건수첩 : 임신초기부터 신청 가능 (직접수령, 택배수령 선택 가능) - 맘편한 KTX : 특실을 일반실 가격으로 예약할 수 있음 - SRT 임산부 할인 : 요금 30% 할인 가능 -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국민행복 카드) : 임신 1회당 단태아 100만..

안녕하세요. 서울시는 3월 8일 난임부부에 대한 지원 계획 발표에 이어 4월 11일 오늘 4만 2000여 명의 임산부와 출산가정을 전폭 지원하는 대책을 공개하였습니다. 어떤 지원 대책들이 있는지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산후조리 경비 지원 소득 기준과 관계없이 출산 후 산모가 충분한 돌봄을 받으며 건강을 회복할 수 있도록 산후조리경비 9월 1일부터 지원합니다. ▪ 지원대상 서울시에 6개월 이상 거주하는 모든 산모 ▪ 산후조리 경비 지원 금액 - 아이 한 명 출산한 경우 100만 원 지원 - 쌍둥이 출산한 경우 200만 원 지원 - 세 쌍둥이 출산한 경우 300만 원 지원 고령 산모에 최대 100만 원 검사비 지원 초산 연령이 높아지고 35세 이상의 고령 산모의 비중이 증가하여 유산과 조산의 확률이 높고 저..

안녕하세요. 뜨거운 여름이 오고 있습니다. 전기요금이 인상되면서 올여름 7,8월 전기요금 폭탄 맞을까 전전긍긍하시는 분들 계신가요? 그래서 오늘은 제가 전기요금 절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7월부터 전기 사용량을 줄이면 한전에서 캐시백을 지급하여 매월 산정된 캐시백을 다음 달 전기요금에 차감하여 청구하는 에너지캐시백입니다.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청 대상 주택용(아파트, 주택, 빌라, 오피스텔 등) 고객 중 신청 주소지와 주민등록등본상 주소지가 일치해야 하며, 직전 2개년 사용전력량 중 최소 1개년 사용전력량이 있는 경우 참여가 가능합니다. ▪ 참여 제외 고객 - 고압아파트 개별세대 사용전력량 정보 미제출 고객 - 신규 전기사용 등으로 직전 1개년 동월분 사용전력량 자료..

안녕하세요. 통계청에 의하면 지난해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충격적인 수치가 나왔습니다. 그중 서울의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59명으로 전국에서 꼴찌를 기록했습니다. 출산을 하지 않으려는 여성이 증가한 원인도 있지만 출산을 원하지만 난임으로 인해 아이를 갖지 못하는 부부도 많습니다. 난임시술비용은 시술당 150~ 400만 원으로 높기 때문에 부담스러워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서울시에서 난임부부에게 시술비 지원 소득기준을 폐지하였다고 하니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난임 아이를 가지기 어려운 상태 서울시 난임 지원 확대 주요 내용 🔶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소득기준 및 시술 간 칸막이 폐지 - 기준 중위 소득 180% 이하 가구만 지원 가능하였으나 소득기준을 폐지하여 모든 난임부부가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