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목차
1. 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의 기본 원리와 개념
2. Piaget의 인지 발달 단계
안녕하세요. 오늘은 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의 기본 원리와 개념과 인지발달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의 기본 원리와 개념
Piaget는 평형화와 도식, 그리고 동화와 조절의 개념을 사용하여 인간의 인지발달 과정을 설명합니다.
- 평형화 : 인간이 생존하기 위하여 자신의 내부구조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본능적인 경향성을 의미합니다. 즉, 목이 마르면 물을 마시는 것, 피곤하면 잠을 자는 것
- 도식 : 평형화의 욕구가 충족되어 구조화되고 조직화된 상태를 말합니다. 우리가 환경에서 수많은 정보를 받아들이고 적절히 반응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지식의 틀을 의미합니다.
- 동화 : 새로운 정보 혹은 새로운 경험을 접할 때 새로운 정보와 경험을 이미 자신에게 구성되어 있는 도식에 적용하려는 경향성을 의미합니다.
- 조절 : 새로운 정보 혹은 새로운 경험을 인식하기 위해 기존의 도식을 수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Piaget의 인지 발달 단계
1. 발달단계
- 감각운동기 (0~2세)
아동은 시각, 청각 등의 조절 감각과 운동 능력에 초점을 둡니다. 그들의 사고는 자신의 신체적 행동에 주변 세계가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제한되어 있습니다. 감각운동기의 아동들은 기억 속에 사물에 대한 어떤 표상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모방력을 발전시키는데, 이 시기에 발전되는 모방력은 이후의 관찰학습을 위한 토대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합니다.
- 전조작기 (2~7세)
아동들은 언어의 발달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상징적 사고의 발달과 개념 획득 능력에서 빠른 성장을 보입니다. 물질로 존재하거나 현재 상황과 연결된 개념은 비교적 쉽게 습득하지만, 추상적인 개념의 습득은 여전히 한정되어 있습니다. 전조작적 사고는 자기중심성, 집중성, 비전이, 비가역성, 추론의 다섯 가지 특성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구체적 조작기 (7~11세)
자기중심적 사고는 타인에 대한 관심으로 전환되고, 이러한 능력의 습득으로 구체적인 사물에 대한 논리적인 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단순한 지각에 의해서가 아닌 추론을 토대로 결론에 도달하게 되는 능력을 발전시키는 것입니다. 이 단계의 주된 특성은 수와 물질의 특성에 대해서 배열과 분류의 능력이 발달한다는 점입니다. 단지 이때의 논리적 사고는 실제적이고 물질적인 것에 한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형식적 조작기 (11세 혹은 사춘기에서 성인까지)
가설을 세워 사고하며 현실적인 것뿐만 아니라 비현실적인 것에 대해서도 추론할 수 있게 됩니다. 추성적인 문제를 체계적으로 사고하고 그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습니다. 추상적인 문제를 체계적으로 사고하고 그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습니다. 삼단논법의 이해가 이루어지는 것도 이 단계에서입니다.